Vocabulary 향상시키기
단어부터 많이 외워야 합니다. 단어 모르면 아무리 문제 풀이 스킬을 배워도 이 스킬을 적용하지 못합니다. 또한 기본 문법적 지식은 구축해 놓아야 단어를 외워도 이 단어들이 구성하는 문장의 뜻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공부 비중 :
50% 단어 암기 ( Hackers TOEFL Vocabulary = 토플 전 과목에 적용되는 단어, 표제어와 제 1 동의어 암기)
지문과 정답보기를 정확하게 매칭하기
단어는 계속 많이 외워서 지문과 정답보기를 정확하게 매칭(paraphrasing)해야 Fact문제 정답률이 오릅니다. (Fact에서 점수가 올라야 전체 점수가 크게 상승합니다.) 각 문단의 Main Idea / Detail 을 구별하면서 읽습니다.
공부 비중 :
40% 단어 암기 (Hackers TOEFL Vocabulary = 토플 전 과목에 적용되는 단어, 표제어와 제 1, 2 동의어 암기)
문제를 다양히 풀어보고 시간연습하기
문제를 다양히 풀어보고 문제 10개당 18분이라는 시간안에 푸는 연습을 합니다. 간단하게 지문 속 단어와 동의어만 연결하면 풀 수 있는 fact, voca 유형 등에서는 1개 이상 틀리지 말아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각 문제의 정답 이유와 본인이 고른 오답의 이유를 비교 분석해서 정/오답의 차이를 정확히 체감해야 합니다.
공부 비중 :
30% 단어 암기 (Hackers TOEFL Vocabulary = 토플 전 과목에 적용되는 단어, 표제어와 제 1, 2 동의어 암기)
1개 지문당 16-18분 안에 푸는 연습을 합니다.
자꾸 틀리는 유형 위주로 계속 반복해서 문제를 풀어보고 정/오답 분석을 합니다.
자꾸 시간이 오래 걸리는 지문 분야를 파악해서 해당 분야의 교재 지문을 문단 논리 구조를 파악하고 분야별 전문용어(à반별게시판 자료)를 하루에 1번씩 읽고 쓰면서 익숙하게 해놓습니다. (전문 용어는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공부 비중 :
20% 단어 암기 (Hackers TOEFL Vocabulary = 토플 전 과목에 적용되는 단어, 표제어와 제 1, 2 동의어 암기)
Vocabulary
어휘의 극복 없이는 절대 윗 단계로 올라갈 수 없습니다. 토플어휘를 모아둔 Hackers Vocabulary 를 매일 일정량 암기해 가되, 우선은 표제어 + 의미 + 제 1 동의어를 외워갑니다. 그리고 학습하고 있는 리스닝 교재의 단어장 (보통 스크립트와 함께 단어가 정리되어 있음) 을 모두 읽도록 계획을 짜봅니다. 우리말로 봐도 모를 정도의 단어는 외울 필요가 없으며, 중/고등학생 수준에서 일반적으로 알 정도의 어휘는 토플을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토플이 영어권 국가의 대학 교육과정을 따라갈 수 있는지 확인하려는 시험이기에, 해당 권역의 고등학교에서 사용하는 어휘는 필수적으로 입력을 해야 하겠습니다. 고유명사 (특정 물건 등의 이름) 보다는 그 단어가 속하는 범주의 일반적인 어휘를 입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쉽게 예를 들어서, bower bird 의 뜻이 바우어새 라는 것은 몰라도 되지만, bird 가 무엇인지는 파악을 해야 하는 것과 같습니다. 단, 어휘를 학습하기 위해서 너무 많은 시간을 사전에 사용해 버리면, 토플을 학습하는 전체 기간이 너무 길어지기에, 낮은 레벨의 교재라도 학습을 하면서, 어휘 학습을 스스로 병행하시는 편을 추천드립니다
Conversations
구어체의 표현이 많이 등장하므로, 많은 표현을 입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학습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1) 음원을 듣고 문제를 풀어 봅니다. 2) 채점을 합니다. 3) (옵션 1) 음원을 틀고, 받아쓰기를 해봅니다. 스크립트와 대조를 하면서, 본인이 잘 듣지 못했던 부분을 교과서에 형광펜으로 모두 표시를 합니다. 그리고 해당 표현의 해석을 스크립트를 활용하여 입력합니다. (옵션 2) 받아쓰기 대신에, 음원을 문장 단위로 멈춰가며 듣고, 방금 들었던 문장을 따라서 말해보려고 합니다. 이것을 에코잉 이라고 합니다. 스크립트를 확인하여서, 본인이 틀리게 말했던 부분은 모두 표시를 하고, 스크립트를 활용하여서 해당 표현을 입력합니다.
Lectures
문제를 풀기 전에 스크립트에 정리되어 있는 단어장을 먼저 학습하고, 음원을 듣고 문제를 푸는 것을 시도해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1순위 목표는 단어의 확장이 되어야 하겠지만, 렉쳐같이 긴 문장으로 학구적인 내용을 들을 때는, 여러 단어 속에서 중요한 핵심 포인트만 파악하는 스킬도 정말 중요해 집니다. 기초적 문법 실력이 받침되어야 할 수도 있으니, 학원을 렉쳐의 문제를 너무 소모해 버리는 것 보다는, 렉쳐 하나 하나의 해석을 80% 이상 소화했다고 판단이 될 때 다음 렉쳐로 넘어가는 것을 추천합니다.
Vocabulary
매일 공부하는 본문에서 나오는 단어 뿐만이 아니라 특히 lecture의 topic 별 어휘를 정리하는 것이 중요해지는 시기입니다. 아는 만큼 들린다는 사실을 꼭 기억하고 각 topic 별로 단어의 폭을 늘리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Conversations
이제는 각 문장의 해석에 비중을 두던 학습을 벗어나기 시작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조금 더 긴 호흡을 가져가는 것을 연습하여야 합니다. 여러 문장을 듣고, 중요한 내용을 스스로 요약할 수 있는지 확인해 보는 학습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Lectures
컨벌세이션과 마찬가지로, 단어 하나하나의 해석에서부터 벗어나서, 두어 문장을 듣고 중요한 내용만을 스스로 요약할 수 있는지 체크하면서 학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울러, 중요한 내용만 적은 분량으로 노트테이킹 하면서 동시에 음원을 잘 듣는 훈련을 하여야 합니다. 또한, 문제가 어떤 포인트에서 자주 출제되는지를 파악해야 하는 단계입니다. 단순히 해석상 정답이 맞고 그름을 구분하는 수준을 벗어나서, 왜 해당 포인트에서 문제를 낼 수 밖에 없었는지를 고민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Vocabulary
이 단계에서는 간헐적으로 모르는 어휘가 등장 할 수는 있지만, 어휘가 문제의 정답률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닌 단계입니다. 수험기간 동안 꾸준히 어휘 확장을 하되, 본 단계에서는 어휘 학습에 투자하는 시간을 줄여가는 것이 좋습니다.
Conversations
잘 이해하였고, 잘 판단하였다고 생각했지만 틀리는 문제의 선지 뉘앙스를 고민해 보도록 하고, 실제 시험과 같이 5개의 지문을 연달아서 학습해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Lectures
컨벌세이션과 마찬가지로, 잘 이해했다고 생각했는데, 오답을 고른 경우, 각 선지의 뉘앙스를 알아내기 위하여 선생님이나 영영사전을 활용하도록 합니다. 아울러 노트테이킹을 더욱 간소하게 줄여나가고, 기억력과 노트테이킹을 두루 활용하여서 고득점을 목표해 보아야 하겠습니다. 많이 적을수록 적게 들린다는 사실을 꼭 기억해야 하겠습니다.
의미를 알고 있는 쉬운 단어라 할지라도, 정확한 발음, 강세를 입으로 귀로 익힐 수 있도록 합니다. 쉬운 문장도 눈으로만 읽지 말고, 크게 소리 내어 읽는 습관을 갖는 것도 중요합니다. 스피킹 섹션 문제별로 많이 등장하는 어휘와 표현을 정리하여 표현이 바로 입에서 나올 때까지 반복 연습해봅니다. 전체적인 응답이 아주 유창하거나 발음이 크게 좋지 않더라도 채점관이 응답자가 어떤 말을 하고 싶는지 어느 정도 이해하면 18~20대의 점수대까지는 가능하므로, 응답 녹음한 것을 반드시 다시 들어보고, 이런 잘못된 습관이 굳혀지지 정확히 소리내는 것에 집중합니다.
연습 시에는 고우해커스의 쉐도잉 & 말하기 연습 프로그램 적극 활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영어 문장의 어순 또는 품사에 대한 기초 문법 지식도 반드시 함께 공부합니다. 초급 단계는 스피킹할 때 영어 어순에 완전히 어긋난 문장 또는 문장 구성에 반드시 필요한 동사나 목적어를 빠트리는 실수 등으로 내용 전달력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자잘한 문법 실수까지 주의해야 할 단계는 아니더라도, 문장의 의미 전달에 영향을 끼칠 정도의 굵직한 문법 실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기초 문법을 어느 정도 알고 있어도 실제 말하면서 그 문법을 적용하지 않으면 응답할 때 비슷한 실수가 계속 발생할 수 있으므로 짧은 문장이라도 자주 만들어보고, 자주 말해봅니다.
초급 단계에서는 문장을 길게 만들수록, 문법 실수가 더 잦아지고, 의미 전달이 더 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응답을 말할 때 너무 한 문장에 오랜 시간을 소요하여 긴 문장을 만들려고 하지 않도록 합니다. 문장을 먼저 한국어로 생각했다가 그 문장 그대로를 영어 단어로 바꾸지 않도록 합니다. 영어 문장은 절대 한국어 단어를 그대로 바꾼다고 해서 그 의미 전달이 되지 않으므로 토플에서 자주 등장하는 표현들을 최대한 많이 암기하여, 어색한 한국식 표현을 쓰는 실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합니다.
독립형의 경우, 하루에 2~3개 이상의 주제를 연습하고 암기한 템플릿을 주제에 따라서 적용하는 연습 필요 뭉개진 발음이나, 문장의 끝을 흐리는 습관은 없는지 확인하고, 전달력 높이는 훈련 중심으로 연습합니다. 이미 17점 미만을 받았던 학생들이라면 내용 자체도 부실하지만, 발음 전달력이 떨어져 큰 감점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스피킹 첨삭을 통해서 정확한 발음을 익히고, 단어 내의 강세를 신경 쓸 것 주제와 크게 벗어난 내용으로 응답하지 않도록 템플릿을 철저히 암기하여 45초 응답 시간 내에 최소 4~5문장으로는 답할 수 있도록 합니다.
통합형의 경우, 듣기의 흐름을 어느 정도 이해했는지 먼저 확인하고 (note-taking없이 강의만 1~2번 먼저 들으면서 중요한 문장을 귀로 선별할 것) “동사+목적어” 의미 단위로 적는 훈련을 일주일 4~5회, 하루에 30분 이상의 시간을 note-taking에 투자할 것. 기초 문법에 대한 개념이 없을 경우, 영작이 필요한 통합형에서는 20점의 이상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문장의 어순과, 품사, 시제와 수일치에 대한 개념도 정리합니다. 60초의 통합형의 경우, 최소 6~7문장 사이는 반드시 요약할 수 있도록 합니다.
중급 레벨에서는 단순히 내용의 전달력 뿐만 아니라 응답 내용을 유창하게 들리게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영어 문장의 억양을 구사하는 규칙을 먼저 알고, 그대로 적용하여 무수히 많은 훈련을 하는 것이 필요한데, 문장 내에서 내용어(content words)에 해당하는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중심으로만 강하게 소리 내고, 그 외 기능어(function words)인 관사, 전치사, 접속사 등은 상대적으로 작게 소리 내어 문장의 리듬감을 살릴 수 있도록 합니다. 스피킹 섹션의 경우, 평서문 형태(declarative sentences)만을 말하기 때문에 온점이 위치한 문장의 끝에 억양은 반드시 내리고, 그 외 의미 단위가 끝나는 부분은 억양을 올리도록 합니다.
문장마다 전치사, 관사, 분사 등의 사용에 있어서 사소한 실수들이 이어지거나, 의미 전달이 다소 모호한 표현을 만들 수 있는데 이런 실수가 계속 이어지면 전체 점수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응답을 녹음하고 들어보는 반복 연습시 1차 녹음이 끝나면 한 번 정도 응답내용을 그대로 적은 스크립트를 작성하여, 자주 발생하는 실수를 고칠 수 있도록 합니다. 특히나 현재 분사나 과거 분사를 헷갈려서 사용하거나 수동태에서 be동사를 빠트리거나, 완료 시제의 사용 복잡하고 긴 문장을 구사할 때 여전히 실수가 많을 수 있는 단계이므로, 짧은 문장을 만들어 보고 조금씩 살을 붙이는 연습을 하고, 통합형의 경우, 최대한 의미 단위로 노트테이킹을 잘 해두는 훈련을 통해서 준비시간 활용을 수월하게 합니다.
중급 단계부터는 반드시 유형별로 타이머를 재고,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정해진 시간 내에 구성하고, 시간 분배에 유의하여, 중요 내용을 빠뜨리지 않고 말했는지를 확인해보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나 통합형의 경우, 잘 듣고 잘 말하고도 시간 분배에 실패하여 요약을 하지 못해서 감점이 되는 경우도 많으므로 주의합니다.
단어의 발음 실수를 최대한 줄이고, 의식하지 않아도 영어식 억양으로 문장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합니다. 단문과 장문을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어야 하므로, 적절한 접속사, 접속부사, 관계대명사 등을 이용하여 장문을 만드는 훈련을 합니다.
1~4번 문제 모두 적절한 응답 속도와 일관된 pacing이 중요하므로, 문장이 끝나고 적절히 호흡하는 연습, 긴장해서 너무 속도가 빨라지거나, 느려지고 있지 않는지 응답을 들어보면서 pacing 체크까지 반드시 합니다. 평소 연습 시 pacing을 잘 점검해야, 시험장에서도 당황했을 때 속도가 너무 빨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약간의 관사 실수나 의미 전달을 떨어뜨리지 않는 수준 내에서의 문법 실수가 있을 수 있지만, 시험장에서는 이런 사소한 문법 실수도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중급 단계에 이어서 반드시 응답 내용을 스크립트로 작성해보는 습관을 갖고, 응답을 하는 데 있어서 표현이 너무 제한적이지 않는지도 점검합니다. 예를 들면, 문장마다 can이 들어가는 표현만을 잇고 있지는 않는지, 의미 전달을 모호하게 하는 대명사의 사용은 없는지를 확인합니다.
통합형의 경우, 리스닝 스크립트를 분석해보고, 길고 다소 어려운 표현은 쉽고 짧게 paraphrasing하는 훈련도 함께 합니다.
단어의 발음, 또는 강세 실수가 없도록 합니다. 최대한 원어민의 억양과 비슷하게 말할 수 있도록 스피킹 첨삭을 통해서 자연스러운 억양을 구사하는 훈련에 시간 투자합니다.
1. 문제 유형
2. Reading passage와 Listening lecture의 내용
| Topic : Wind energy is advantageous | |
|---|---|
| Reading(agree) | istening(disagree) |
| 1. Wind energy is widely available | Wind is not concentrated |
| 2. Wind power is environmentally Friendly | Wind mills kill birds |
| 3. Wind energy is cheap | Wind power technology is expensive |
3. Reading 내용 요약
4. Listening 내용 note-taking
5. Summary
Opening
Body
Closing
1. 문제 유형
2. Topic 과 Idea 전개
3. 수업 토론 문제 예시
4. 샘플 답변
5. 시간 배분 (10분)
6. 단어 수 (최소 100 단어 권장)
7. 문법과 영작 능력
*엔터 칠 필요 없이 1-6번의 문장 모두 한 문단 (paragraph) 에 작성합니다.
고우해커스는 어학시험 분야 베스트셀러 교재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열기 버튼을 클릭하면 해커스 교재 순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열기 ▼